플랫폼 소개platform introduction

service introduction서비스 소개

미세먼지 쌍방향 R&E 플랫폼

2013년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는 초미세먼지(PM2.5)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을, 1군 발암물질(Group 1: 인체 영향 확인)로 지정하였습니다. 현재 한국은 정부의 저감정책이 적용되기는 했으나, 아직은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는, 대기 중 초미세먼지가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.
 
본 센터는 이러한 초미세먼지의 노출정보를 실내, 실외, 개인을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이해수집하고, 자료를 저장, 가공, 분석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, 이 플랫폼을 활용하여 사전 예방적 관점에서 예측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며, 그러기위해 본 센터는 실내, 실외, 개인 미세먼지 노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플랫폼과 연동하고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(인공지능, 빅데이터, 클라우드 플랫폼)을 융합하여, 플랫폼에 수집된 측정 자료를 민감집단 및 관리기구 그리고 시민 과학자들과 공유함으로서, 미세먼지 정보의 사각지대 최소화 및 실시간 정보 전달, 그리고 자발적 맞춤형 노출저감 솔루션 개발에 기여하겠습니다.
 
2020년 11월 20일

미세먼지 쌍방향 정보전달 시스템 구축 연구 총괄책임
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장
BK 21 미세먼지 대응 위해성평가 고도화 및 스마트 혁신인재 양성 교육연구 단장
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ICT환경보건시스템학과 주임교수김성렬

미세먼지 쌍방향R&E 플랫폼 개념도

플랫폼 구성 및 기능

서비스 흐름도

ESCORT Air를 활용한실내공기질 향상 개념도